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증상은 급성 미열로 시작되고 신체 전반이 가렵고 발진성 수포가 생깁니다. 잠복기간은 2~3주, 보통 13~17일이고 수두나 대상포진의 수포에서 나오는 액의 직접 접촉 또는 공기를 통해서 전파됩니다. 감염자의 타액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으며 수포는 발생 초기일수록 전염성이 강하고, 딱지가 생기면 전염되지 않습니다.
수두는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은 누구든지 걸릴 수 있습니다. 수두는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 수두 환자와의 직접 접촉, 수두 물집에서 나오는 진물 등을 통해 원인균이 체내로 들어옴으로써 전염될 수 있습니다. 수두는 전염성이 강하여 수두 환자와 접촉하면 거의 100% 감염됩니다. 수두 백신이 사용되기 전까지 수두는 매우 흔한 발진성 질환 중 하나였습니다. 수두 백신의 접종이 시작된 이후로 환자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잠복기간은 2~3주이며 보통은 감염 후 13~17일 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무증상 감염은 거의 없으며 급성의 미열로 시작되고,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발진은 몇 시간 동안의 반구진 시기, 3∼4일간의 수포기를 거쳐 7∼10일 내에 딱지를 남기고 호전됩니다.
수포는 연속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단계별로 변화하고, 동시에 여러 단계의 수포가 공존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수포가 터지면 궤양이 됩니다. 수포는 노출 부위보다는 두피, 겨드랑이, 구강 점막이나 상기도 점막, 결막 등과 같이 가려진 부위에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벨트를 착용하는 부위 등 피부를 자극하는 곳에도 수포가 생기기 쉽습니다. 증상이 가볍거나 비전형적인 감염형, 불현성 감염도 있지만, 성인에게서는 발열과 전신 감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 증상을 관찰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진단 가능합니다. 수포에서 핵내 봉입체를 가지는 다핵 거대세포를 검출하는 것으로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를 관찰하거나, 세포배양으로 바이러스를 분리합니다. 직접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혈청학적으로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수두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있지 않다면, 병원에 입원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두는 자연 치유되기 때문에 증상에 대한 치료만 시행합니다. 만성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이 있는 사람은 피부 발진이 발생한 지 24시간 이내에 먹는 아씨클로버를 사용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중추신경계 감염이 없다면 예후는 좋은 편입니다. 피부 병변에 가피가 형성되고 건조되기 전까지는 전염성이 있으므로, 환자를 격리해야 합니다.
수두는 특별한 식이 조절이 필요 하지 않고 피부의 병적인 증상이 처음 발생한 후 5일 또는 수포가 마를 때까지 환자는 격리를 해야한다고 합니다. 수두 환자에게 주의해야할 사항들이 있는데요 열을 낮추기 위해 아세트아미노펜는 사용해도 되지만 아스피린은 사용을 해서는 안됩니다. 아스피린은 매우 치명적인 라이증후군을 유발할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리플리증후군 원인 및 증상 진단 테스트 (0) | 2022.06.28 |
---|---|
다한증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0) | 2022.06.27 |
비듬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0) | 2022.06.25 |
번아웃증후군 이란? 몸에 보내는 신호 (0) | 2022.06.25 |
사구체신염 원인 및 증상 치료 방법 (0) | 2022.06.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