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골절은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안와 뼈에 골절이 발생한 것입니다. 주로 외상(주먹이나 발, 공에 의한 수상, 교통사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안와 아래쪽과 내측 부위의 뼈에 골절이 잘 발생하며 환자의 병력과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증상은 외상으로 인하여 눈꺼풀이 붓고, 피하 출혈, 결막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골절 부위를 통하여 눈 뒤 쪽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대부분의 환자는 일시적으로 눈이 돌출되어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눈이 꺼지는 안구 함몰이 발생하게 됩니다.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나 안와 연조직이 골절 틈에 끼어서 안구 운동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눈꺼풀 아랫부분 얼굴의 감각이상, 비출혈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타박상에 의한 안구 내 손상이 흔히 동반 된다고 합니다.
보통 안와보다 큰 물체에 의하여 외상을 입었을 때 바깥쪽의 눈 주위 뼈는 보존된 채 안와 내 압력이 올라가고 안와벽 중 두께가 얇은 안와 하벽과 내벽에 골절이 흔히 발생한다. 안와 내 압력이 올라가는 이론과 안와뼈가 구부러지거나 뒤틀려 골절이 발생한다는 이론도 있으며 대부분 두 가지 기전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크기가 작은 골절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2. 눈이 뒤로 꺼지는 안구함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안구 운동제한과 그로 인한 복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외안근이 골절된 뼈 틈에 끼이면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구역,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맥박이 느려지거나 드물게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눈꺼풀의 부종과 피하출혈, 결막 밑 출혈, 코피 등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안와 내 출혈이 시신경을 압박하여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와골절은 모든 환자가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골절의 크기가 작고 안구운동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술 여부의 결정은 안과 진료 후 판단하게 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복시와 안구함몰입니다.
1. 골절부위로 눈을 움직이는 근육 혹은 주위 조직에 끼어서 안구 운동장애와 복시가 있는 경우
2. 안와골절 부위가 커서 수술하지 않고 둘 경우 눈이 뒤로 꺼지는 안구함몰이 예상되는 경우
위 증상 2가지 경우에는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합니다.
수술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얼굴과 코 주위에 감각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좋아진다고 합니다. 대개의 경우 예후는 매우 좋다고 하며 수술이 필요하더라도 성공률이 높고 장기적으로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습니다. 아주 드물게 안구 내 혈관이 막히거나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 손상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안와골절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하며 통증이나 부종을 경감시키기 위해 얼음주머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와 골절이 확인된 이후로는 2달간은 코를 풀지 않아야 하며 코를 풀게되면 눈을 싸고 있는 뼈는 코와 연결이 되어 있는데, 코를 풀면 골절이 된 곳을 통하여 안와 내로 공기가 들어가 눈이 심하게 부풀어 오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얼음찜질, 안구 운동 연습 등이 도움이 되며 골절을 동반한 다른 외상이 있는지 검사하고 안정을 취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두경부암 초기증상 및 원인 예방 방법 (0) | 2022.04.27 |
---|---|
가슴이 답답 폐부종 증상및 원인 예방방법 (0) | 2022.04.26 |
심방세동 초기증상 및 원인 예방방법 (0) | 2022.04.24 |
충수염 증상 및 원인 (0) | 2022.04.23 |
퇴행성 관절염 증상및 원인 예방방법 (0) | 2022.04.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