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한다.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는 경우(기계적 장폐색, mechanical obstruction)와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가 있다.
장폐색의 원인은 크게 장관이 기계적으로 막힌 경우와 장관의 운동이 마비된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장관이 기계적으로 막힌 경우
장의 통과 장애가 일어나서 장관이 기계적으로 막힙니다. 개복 수술 후에 장의 유착이 생긴 경우, 대장암 등으로 장관이 막힌 경우, 탈장이 심하고 오래되어 장관이 막힌 경우, 장중첩이 일어난 경우, 장관의 일부가 꼬여 매듭을 이루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장관의 운동이 마비된 경우
장 이외의 장소에서 일어난 장애의 영향을 받아 장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합니다. 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천공 등으로 급성 복막염이 생긴 경우, 급성 췌장염, 급성 담낭염, 복부 외상 등으로 복막에 심한 자극이 생긴 경우, 복부 수술을 시행한 직후 과량의 장기능 억제제를 사용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비성 장폐색증은 복강 수술 후에의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며, 이는 마취 및 수술로 인해 장의 운동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현상으로 수일 이내에 원상태로 회복된다. 전해질 및 대사작용 이상이 있을 때에도 마비성 장 폐색증이 잘 발생하며, 아편류나 항콜린성약 등에 의해서, 또는 척추수술이나 외상 및 염증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장폐색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가 있습니다.장폐색증으로 인한 증상에는 쥐어짜는 것 같은 극심한 복통, 오심과 구토, 복부팽만 등이 있는데, 막힌 부위에 따라 증상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 외에 고형질의 장 내용물은 내려가지 못하고 수분만 내려가서 소량의 물 설사를 하거나 아예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1. 복통
복통은 발작성 혹은 경련성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좁아진 부위로 음식물을 밀어내기 위해서 장운동이 늘어나면서 통증이 생깁니다. 처음에는 폐색을 일으킨 부분에만 통증이 나타나다가, 점차 배 전체로 퍼지게 됩니다.
2. 구토
장이 폐색된 병변의 위쪽 부분은 음식이나 체액, 소화액, 가스 등이 차면서 급격히 팽창하여 복부 팽만과 오심, 구토를 초래합니다. 구토의 정도는 폐색이 일어난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 상부 소장이 막히면 처음부터 심한 구토증이 나타납니다. 처음에는 황갈색의 담즙이 섞인 액체를 토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대변 냄새가 나는 물질을 토합니다. 또한 수분 결핍이 심하며, 전신 증상도 단시간 내에 악화됩니다.
3. 기타
장이 완전히 폐색되면 대변을 보고 싶지만 전혀 볼 수 없습니다. 장폐색이 일어난 부분의 아래쪽 변은 배설될 수도 있습니다, 장폐색의 원인이 장중첩증일 때는 혈변이 나오기도 합니다. 소화 흡수 장애에 의한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에 의해 탈수, 빈맥, 저혈압이 나타납니다.
장폐색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식생활 및 음식 주의가 필요하며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면 천공과 같은 합병증이 생겨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응급수술이 필요하다. 장 폐색으로 인하여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팽창된 장 내부로 기존에 있던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혈관을 통해서 이를 충분히 공급해주지 않으면 저혈압이나 탈수 등에 빠져서 저혈성 쇼크로 사망할 수도 있으니 꼭 증상이 있으면 진단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탈모 원인및 증상 예방방법 (0) | 2022.04.18 |
---|---|
틱장애 대표적인 증상 치료 방법 (0) | 2022.04.16 |
방광암 초기 증상및 원인 예방 방법 (0) | 2022.04.14 |
수면무호흡증 증상 및 원인 예방 방법 (0) | 2022.04.13 |
화병 초기증상 및 원인 예방방법 (0) | 2022.04.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