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반증은 멜라닌 세포가 소실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백색반이 피부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백반증은 후천적 탈색소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전체 인구 중 0.5~2% 정도에게 나타납니다. 이는 인종, 지역의 차이와 상관없이 발생하며, 10~30세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백반증 환자의 약 30%에서 가족력이 발견되기 때문에 유전적 요인이 의심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 외상, 일광 화상 등이 백반증 발생에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발병 원인으로는 자기 자신의 면역기능이 자신의 색소세포를 이물질로 잘못 인식하고 파괴시킨다는 자가면역설, 비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신경 세포가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주변의 색소세포에 손상을 일으킨다는 신경체액설, 멜라닌 세포가 스스로 파괴되어 백반증이 생긴다고 하는 색소세포 자가파괴설 등이 유력합니다. 최근에는 이 세 학설이 따로 작용한다기 보다는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학설이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백반증의 증상으로는 피부 탈색, 백모증이 있으며 탈색반의 경계가 분명합니다. 탈색소성의 대칭성 반이 어느 부위에서나 생깁니다. 특히 뼈가 돌출된 손, 발, 팔꿈치, 무릎 등과 얼굴, 아랫배 등에 잘 생기고 흰 반점의 경계부가 오히려 검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흰 반점이 나타나는 것 외에 다른 자각 증상은 거의 없습니다. 아주 드물게 병변 부위가 가렵거나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으며 백반증은 특이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외상을 입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개 육안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으나 발생 초기에는 병변이 육안으로 명확하지 않거나 다른 질환과 구분이 어려울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는 피부 조직검사, 우드등 검사, 색조검사 등을 통해 다른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스테로이드 치료
병변이 작은 경우, 스테로이드 연고제를 국소 도포하거나, 트리암시놀론 국소 주사를 사용합니다. 병변이 광범위한 경우 전신 스테로이드를 경구 투여합니다.
2. 광화학 요법
전신 광화학 요법은 광민감제인 소랄렌을 복용하고 2시간 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대개 광선 조사량을 점차 늘려가며 일주일에 2~3회 시행합니다. 침범 부위가 몸 전체의 1~2% 이내인 경우, 광민감제를 국소 도포하고 1시간 이후 자외선 A를 조사하는 국소 광화학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단파장 자외선 B치료
광민감제의 복용이나 도포가 필요한 광화학 요법과 달리, 311nm 근처의 파장을 방출하는 단파장 자외선 B를 병변 부위에 조사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4. 표적 광치료
전신 광치료 기계 이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부위의 자외선 노출을 최대한 줄이면서 병변 부위만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최근 엑시머 레이저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5. 외과적 방법
박피술, 중간층 피부 이식, 펀치 이식, 흡입 수포술 등을 이용한 피부 이식술과 자가 멜라닌세포 이식 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흡입 수포술은 정상 피부에 음압을 가하여 생긴 수포를 병변 부위에 옮겨 붙이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안정된 병변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 환자는 일상생활에서 피부에 자극이나 상처를 받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처를 입은 부위에 백반증이 생기거나 백반증이 더 퍼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외선을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또 과일이나 채소를 통하여 충분한 양의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돌발성난청 원인 및 증상 (진단)치료방법 (0) | 2022.06.10 |
---|---|
건강염려증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0) | 2022.06.09 |
척추측만증 원인 및 증상 (진단)치료방법 (0) | 2022.06.08 |
이석증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0) | 2022.06.08 |
티눈 및 굳은살 원인 및 증상 치료방법 (0) | 2022.06.07 |
댓글 영역